top of page
검색

사막의 공포,

  • 이한결
  • 2015년 8월 5일
  • 2분 분량

사막의 공포, 메르스

10422 이한결

치사율 40.7%라는 무서운 꼬리표를 달고 대한민국에 몇 주 전 갑자기 상륙한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MERS)! 대한민국에 첫 감염자가 확인된 그날부터 끊임없이 뉴스와 SNS를 뜨겁게 달구고 있다. 최근에는 메르스 때문에 마스크를 쓰고 다니는 사람도 흔히 볼 수 있고, 공공기관에서는 손세정제를 무료로 배치하고, 심지어는 메르스의 확산을 막기 위해 휴교를 하고, 한국 방문을 꺼려하는 외국인의 모습도 볼 수 있다. 과연 메르스가 무엇이 길래 전국적으로 메르스의 예방하려고 이 노력을 하는 걸까? 일단 메르스의 정의부터 알아보자.

메르스(MERS)는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coronavirus), 즉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의 감염으로 인한 중증급성 호흡기질환의 약자이다. 명확한 감염경로는 밝혀지지 않았으나 모든 환자는 중동지역, 특히 사우디아라비아를 방문하거나 거주, 또는 사우디아라비아에 있었던 사람과의 접촉을 한 사실이 드러났다. 또한 감염자 중 낙타 시장과 농장을 방문한 사람과 낙타 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한 사람이 많아 낙타로부터 감염되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는 중동지역에 다녀온 68세 남성이 중동호흡기질환의 첫 한국인 감염자로 확인됐다고 5월 20일에 밝혔다. 현재 한국엔 41명의 확진 환자 (5명은 호전 상태), 4명의 사망 환자가 있고, 1820명의 자택 또는 시설 격리자가 있다고 보고되었다(6월 5일 기준). 위에서 알 수 있듯이, 그 전염속도는 보름 만에 약 2000명의 환자를 낳을 만큼 엄청나다.

치사율 40,7%의 메르스는 안타깝게도 아직 예방용 백신과 치료제(항바이러스제)가 개발되지 않은 상태이다(2015년 6월 5일 기준). 그러나 6월 3일에 한국의 K대에서 메르스 진단키트를 개발하여 좀 더 빠른 진단으로 추가 감염자 발생의 위험성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 진단키트는 메르스 감염 의심 환자에게만 사용되고, 만일 자신이 메르스에 감염되었다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고 병원에 가지 않으면 메르스 감염을 최대한 막고 감염 환자를 빨리 발견해내어 신속한 치료를 하는 데 목적이 있는 이 진단키트는 무의미해진다. 따라서 우리는 메르스의 증상을 알고 자신이 그 증상을 보이는지 확인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메르르스의 증상으로는 무엇이 있을까? 메르스는 고열증세, 호흡곤란, 기침, 콧물 등의 호흡기 증상과 함께 급성 신부전증을 일으킬 수 있다. 2~14일의 잠복기를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잠복기에는 아무런 증상이 나타나지 않고 전염력이 없으나, 증상이 나타나는 즉시 강한 전염력과 엄청난 고통을 가져온다. 메르스는 잠복기를 가져, 자신이 어떤 사람에게 감염 되었는지 확인하기 어렵고, 증상 초기에는 감기와도 비슷하게 느껴지므로 자신이 중동지역 방문자와 접촉하지 않았더라도 감염되었을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항상 생각해야한다.

아무도 모르게 자신에게 접근하여 생명을 위협하는 암살자와도 같은 메르스. 메르스를 예방할 수 있을까? 답은 생각보다 간단하게 ‘예’이다. 평상시 손을 비누와 물 또는 손 세정제로 자주 씻고 중동지역 여행이나 체류 중에는 동물과의 접촉을 피하고 낙타로부터 바이러스가 온 것으로 추정되므로 익히지 않은 낙타고기나 멸균되지 않은 생낙타유를 먹지 않아야한다.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경우에는 화장지나 손수건이나 손대신 옷소매 위쪽으로 입과 코를 가리고 해야 한다. 발열 및 기침, 호흡곤란 등 호흡기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바로 일반 마스크를 착용하고, 즉시 의료 기관에서 진료를 받아야 한다. 사람이 많은 곳에는 감염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가급적 가지 않는 것이 좋다.

메르스, 급격히 늘어나는 감염 의심 환자와 낮지 않은 치사율로 전 세계적인 공포의 대상이 되었다. 하지만 위에서 언급한대로, 예방 수칙을 철저히 지키면 나의 건강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의 건강도 지킬 수 있다는 것을 알고 꼭 실천하길 바란다.


 
 
 

Comments


잠시 후 다시 확인해주세요.
게시물이 게시되면 여기에 표시됩니다.

© 2015 by SPECTRA. created with Wix.com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