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GLOBAL WARMING? WARNING!

  • 신진이
  • 2015년 8월 11일
  • 4분 분량

1.지구 온난화란?

지구 온난화란 간단히 말하여 지구 표면의 온도가 상승하는 현상이다. 지구의지상평균 기온은 태양으로부터 받은 복사에너지에 의해 조절되는데 이 기온이 상승되고 있다. 이는 땅이나 물에 있는 생태계가 변화하거나 해수면이 올라가 해안선이 달라지는 등 기온의 증가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이기도 하다. 이산화탄소 등의 증가로 지구 온난화가 진행되면 적도와 양극간의 대류현상이 감소함으로 기후패턴이 변하게 된다. 그 결과, 지구의 기후 시스템의 혼란으로 바람과 비, 홍수와 한발 및 열대야 현상, 사막화 현상, 엘리뇨 현상, 해류 및 제트기류 이변 등으로 어류생태계의 파괴와 식량 차질등 지구의 대 재앙의 신호가 될 수 있다.

2. 지구 온난화의 원인

지구 온난화의 원인은 온실효과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태양으로부터 방출된 에너지는 지구에 도달한 후 다시 우주로 방출된다. 이때 대기권의 온실 가스층에 의해 우주로 방출되는 양이 들어오는 양보다 적거나 같으면 지구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러나 화석연료의 사용으로 온실 가스층이 두꺼워지면 지구에서 방출되는 에너지량이 감소함으로써 지구의 평균 기온이 높아지게 된다. 온실가스 중 지구 온난화를 일으키는 주범은 이산화탄소이다. 이산화탄소는 석유 석탄 같은 화석연료가 연소될 때 가장 많이 발생한다. 또 화력 발전소, 제철공장, 시멘트공장뿐만 아니라 가정용 난방과 자동차 운행 과정에서도 이산화탄소가 배출된다. 숲은 이산화탄소를 산소로 바꿔주는 기능이 있는데, 숲이 사라지게 된다면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양은 더욱 늘어나게 된다. 메테인과 프레온가스도 온실가스의 역할을 한다. 프레온가스는 오존층 파괴를 유발하기 까지 하는데 이를 대체하는 물질들 역시 온실가스의 성격이 커 문제가 되고 있다.

3. 지구 온난화의 과정

1)대기중 이산화탄소의 증가와 지구 온난화

대기중 이산화탄소의 양이 증가하게 된다면 해수면의 상승으로 인해 섬이나 해안가에 사는 사람들의 생활에 지장이 클 것이다. 강수량의 변화도 클 것이고 이의 결과로 인해 홍수나 가뭄, 각종 기상이변이 증가하고 지금보다 이의 규모가 커질 확률이 높다. 이것은 생태계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일차적으로 동식물의 호흡이 원활하지 못할 것이고 이것은 생태계를 파괴시키는 큰 원인이 된다.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이산화탄소량이 증가함에 따라 지구 온난화의 진행 속도도 가속화 된다는 것이다. 이유는,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짙어짐에 따라 온실효과는

더욱 활성화 될 것이고 이는 지구의 온도 상승을 초래하며 심각한 환경 문제를 유발하기 때문이다.

2)기체의 용해도 감소와 지구 온난화

지구 온난화가 지속되면 바닷물 속에 사는 생물은 더욱 생존하기가 어려워 진다.물의 온도가 증가하면 물에 녹아있는 기체들의 용해도는 낮아진다. 이는 물에 녹아있던 기체들이 다시 기체가 되어 물 밖으로 나왔다는 것을 의미한다. 물속에서 서식하는 수생 식물이나 물고기들도 마찬가지로 대부분 산소로 호흡을 한다. 하지만 지구 온난화로 인해 바닷물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바닷물 속에 녹아있는 산소의 양이 감소하고 바다생물들은 호흡을 하지 못해 죽게 된다.

3)빙하의 감소와 지구 온난화

현재보다 기온이 더 따뜻해 진다면 해수의 팽창, 빙하의 융해 등에 의해 해수면 수위가 상승할 것이다. 또한 온난한 기온은 강수량을 증가시키게 된다. 평균 해수면은 해양의 열적 팽창과 빙하 및 얼음 평상이 녹음으로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해면 상승은 해양에 접한 지역의 수몰 등 육지의 감소를 초래하며, 거주지의 상실, 농경지 감소에 의한 식량생간의 감소 등 중대한 사회의 문제를 불러 일으키게 된다.

4)지구 온난화와 이상 기상 현상

최근 발생하는 자연재해는 엄청난 인적, 물질적 피해를 가져왔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피해의 규모는 점차 커져만 간다. ‘이상기후’ 란 과거 30년 동안 한 번도 관측되지 않았던 기상 상태라고 정의한다. 이는 홍수, 폭우, 사막화, 태풍과 같은 재해를 포함한다.

18세기 영국의 산업혁명 이후로 자연에너지를 이용하는 농업시대에서 화석 연료와 같은 새로운 에너지를 이용하는 공업시대로 넘어가면서 막대한 양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되었다. 결국 대기중 이산화탄소의 증가로 지구 온난화가 야기되었고 전 세계의 도시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숲과 목초지를 잃어 재앙을 불러 일으킨 것이다.

II. 지구 온난화와 기후의 변화

1.지구 환경의 변화

지구 온난화 직접 피해로는 해수면 증가, 전 지구적 기상 변화, 불확실한 일기 패턴, 대규모 태풍/허리케인 발생, 직간접적 극지 오존 파괴, 극지방 빙하 감소에 의한 생태계 변화 등이 있고 지구 온난화 간접 피해로는 전염병 발생 빈도 증가, 농작물 수확 감소, 해안 및 도서 지역 가용 토지 면적 감소, 불확실한 일기예보로 인한 경제 소모 비용 발생, 보험료 등 산업 비용 증가 등이 있다. 자연 재해 보험 통계에서 보듯이 지구 온난화로 인해 평균적인 태풍의 발생 빈도와 강도가 커지고 있고 바람의 세기가 25% 증가하면 건물의 피해액은 650% 증가를 보임으로서 지구 온난화로 인한 태풍의 대형화로 기하급수적인 피해액이 예상된다.

우리나라의 환경 변화

각 계절의 길이 변화

우리나라는 본래 뚜렷한 4계절을 나타냈던 나라이다. 하지만 지구온난화가 발생하면서 지구의 평균 온도는 올라간다. 이렇게 되면 계절마다 온도가 높아지게 된다. 그래서 겨울이 짧아지고 봄과 가을이 점차 없어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또한 온도의 변화 때문에 계절의 시기가 바뀌기도 한다. 최근 몇 년간 우리나라의 여름이 더욱 일찍 시작되는 현상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리고 평균 온도가 상승하는데 일부는 매우 급격히 상승하여 이상 기후를 야기하기도 한다. 봄에는 꽃샘 추위와 같은 이상 기후가 발생하고 여름에는 태풍, 겨울에는 폭설로 미치는 영향이 있다.

태풍 발생 증t가

태풍은 바닷물이 열을 얻으면 수증기가 되며 상승기류를 타고 상층으로 올라가게 되면서 식어 다시 물방울로 변하여 이러한 열로 인해 주위의 공기를 데우면 공기는 다시 상승하여 정상에서 사방으로 분출하게 되어 일어나는 현상이다. 분출되는 힘은 점점 강해지며 지구의 자전에도 영향을 주어 지표 가까이서는 소용돌이가 일어나면서 속도를 더해가는데 중심의 풍속이 17m를 넘으면서 태풍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태풍은 점차 에너지를 축적해가고 있으면서 물 - 수증기 - 물로 변화할 때에 생기는 에너지가 태풍이 생기게 하는 에너지가 되고 현재 지구의 평온 기온은 상승경향이 있으며 지구 전체가 온난화 되고 있기 때문에 그 속도는 어마어마해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평균 기온, 평균 수온, 해수면 상승

지구 평균의 2배에 달하는 온도 변화 (지난 100년간 1.5도 씨)로 우리나라가 아열대화 되고 있다. 또한 해수면 상승은 지구 평균의 3배 (제주도 기준 지난 40년간 22cm), 수온 상승도 지구 평균의 3배 (동해 기준 지난 100년간 1.1~1.6도 씨)에 달합니다. 이로 인해서 열대야 일수 증가, 여름철 기간 증가, 농작물, 해양생물 등의 변화를 초래하여 우리 생활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구는 지난 100년간 전세계 평균 기온이 0.74도 정도 상승했다. 마찬가지로 지구 온난화로 인해 우리나라의 평균 기온도 전체적으로 상승했다. 특히 여름의 평균 기온이 눈에 띄게 상승하였으며 지구 평균의 2배에 도달하는 온도 변화로 우리나라가 아열대화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로 인해 농작물 (농작물 재배지의 북상), 해양 등의 변화도 심각하다.

평균 수온이 상승하게 되면 바닷물 속의 산소가 줄어듬으로서 바다 속의 생물이 살기 힘들어진다. 동해안의 명물이던 명태와 정어리는 최근 들어 거의 잡히지 않고 있고 서해에서 잘 잡히던 조기와 갈치도 어획량이 급격히 감소 하였다.


 
 
 

Comments


잠시 후 다시 확인해주세요.
게시물이 게시되면 여기에 표시됩니다.

© 2015 by SPECTRA. created with Wix.com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