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전염병의

  • 작성자 사진: mirae102
    mirae102
  • 2015년 8월 11일
  • 3분 분량

병원체가 인간이나 동물에 침입하여 그 장기(臟器)에 자리잡고 증식하는 것을 총칭하여 감염(感染)이라고 하며, 이 감염에 의한 증세의 발현을 감염증이라고 한다. 감염에는 전혀 증세가 없이 면역만 생기는 불현성(不顯性) 감염과, 증세가 나타나는 현성 감염이 있으며 때로는 감염증과 전염병을 동의어로도 쓰나, 전염병은 감염증 중에서도 그 전염력이 강하여 소수의 병원체로도 쉽게 감염되고 많은 사람들에게 쉽게 옮아가는 질병을 말한다.

물의 오염(汚染)으로 인한 장티푸스나 이질(痢疾), 공기전염에 의한 홍역·감기·디프테리아·결핵, 모기에 의한 일본뇌염과 말라리아(학질), 성 접촉에 의한 성병(性病) 등은 흔히 볼 수 있는 전염병의 예이다.

전염병의 분류

전염병의 병명은 대부분의 경우 해부학적 부위의 특성,

임상학적으로 본 증세의 특성, 병리학적 특성, 또는 병원체의 이름 등

여러가지 기준으로 명명된다.

주로 외국에서 발전되어 도입된 현대의학에서의 병명에는

일어식, 영어식 표기가 혼동되어 한국 의학협회에서 이를 표준화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전염병은 급성전염병과 만성전염병으로 묶을 수 있는데

원인적 치료와 예방을 위한 것은 병원체의 종류에 따른 분류를,

또 전파 차단에 의한 유행 예방을 목적으로 할 때는 전파경로별 분류가 유용하다.

전염병의 종류

1. 수인성 전염병 : 병원성 미생물에 오염된 물이나 음식을 섭취해서 발병하는 감염병을 말한다.

대표적으로는 세균성 이질,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중출혈성 대장균 감염증,

살모넬라균 감염증 등이 있다.

2. 세균성 전염병 : 장염비브리오균 감염증, 장독소성 대장균 감염증, 캄필로박터균 감염증 등은

세균에 의해서 발생한다.

3. 콜레라는 오염된 물이나 음식물을 먹은 후 2~3일이 지나면 쌀뜨물 같은 설사와 구토가 일어난다.

4. 일본 뇌염 은 일본의 작은 빨간집 모기에 의해서 전파되는 전염병이다.

7~8일간의 잠복기를거쳐서 발병하는데 어른들보다는 15세 이하의 어린이들이 감염되기 쉽다.

회복기에도 언어 장애나 판단 능력 저하 등의 후유증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

5. 천연두(시두, 마마, 손님, 두창, smallpox)

천연두는 발열, 수포, 농포성의 병적인 피부 변화를 특징으로 하는 급성질환으로

두창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한다. 사망률이 매우 높은 감염질환으로

1979년에 전 세계적으로 두창은 사라진 질병으로 선언되었다.

현재까지 자연적인 질병의 발생은 보고된 바 없으나

두창 바이러스가 생물 테러무기로 이용될 가능성이 알려지면서

최근 다시 관심이 모이고 있는 질환이다.

법정 전염병

법정 전염병이란 공중 보건학으로 관리되어야 할 필요가 있어 법으로 규정하여 관리하는 전염병이다.

한국의 전염병 예방법에 규정된 제1,2,3종의 법정 전염병은 신고와 등록의 의무, 건강진단의 시행의무,

격리수용, 교통차단 등에 대한 법적 구속력이 나타나 있다.

의사 또는 한의사가 1군, 2군, 4군 전염병 환자를 발견했을 때는 즉시 3군 전염병 환자 발견시는

7일 이내에 관할 보건소에 신고해야 한다.

① 제1군 전염병 : 전파속도가 빠르고 국민건강에 미치는 위해 정도가 너무 커서

발생 또는 유행 즉시 방역 대책을 수립해야 하는 질병이다.

♣ 종류 : 콜레라, 페스트,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세균성이질, 장출혈성대장균

② 제2군 전염병 : 예방 접종을 통하여 예방 또는 관리가 가능하여

국가 예방 접종사업의 대상이 되는 질병

♣ 종류 : 파상풍, 디프테리아, 백일해, 폴리오, 일본뇌염, 홍역, 풍진,

유행성이하선염(볼거리),B형간염

③ 제3군 전염병 : 간헐적으로 유행할 가능성이 있어 지속적으로 그 발생을 감시하고

예방 대책의 수립이 필요한 전염병이다.

♣ 종류 : 말라리아, 결핵, 한센병, 성병, 성홍열, 수막구균성 수막염, 레지오넬라증,

비브리오패혈증, 발진티푸스, 발진열, 쯔쯔가무시증, 렙토스피라증,

브류셀라증, 공수병, 신증후군출혈열(유행성출혈열), 인플루엔자,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탄저(탄저는 3군에 속하지만 발견 즉시 신고해야 함)

④ 제4군 전염병 : 국내에서 새로 발생한 신종 전염병 증후군, 재출현 전염병

또는 국내 유입이 우려되는 해외 유행 전염병으로서 방역 대책의 긴급한 수립이 인정되어

보건복지부령이 정하는 전염병이다.

♣ 종류 : 뎅기열, 황열, 두창(천연두), 보툴리누스중독증 등

⑤ 지정 전염병 : 위의 지정된 전염병 외에 유행 여부의 조사를 위하여

감시 활동이 필요하다고 인정되어 보건복지부령이 정하는 전염병이다.

전염병 예방의 3대 원칙

- 외지로부터의 침입을 막기 위한 검역원칙이다.

- 환자나 보균자의 격리이다. 병원체를 배설하는 사람들을

건강인과 접촉하지 못하도록 떼어 놓는 것이다.

병원체로 오염된 환경을 철저히 소독하고 매개동물을 박멸하는 방법이다.

- 면역력을 증강시킴으로서 어떤 병원체에도 감염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는 방법이다.

예방 접종에 의한 면력 증강은 개인의 감염을 예방해 준다는 뜻도 있지만

크게는 자기가 속해 있는 지역사회의 집단 면역 수준을 높여 줌으로서

그 지역사회로 전염병이 침입하는 것을 방어한다는 의미가 더 크다.

- 전염병의 발생과 예방은 개인의 문제라기보다

지역 사회와 국가의 안녕이 달려있는 문제이므로

신고, 치료, 예방 조치가 필수적이라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전염병의 예방을 위해 식사 전에는 손을 깨끗하게 씻고,

도마나 조리기구도 자주 소독한다.

음식을 같이 떠먹지 않으며,

되도록 날음식을 먹지 않는 것도 중요하다.

또 가축, 하수구, 지하실 등 모기가 많은 지역에는

살충 소독을 자주한다.

그리고 가능한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도 중요하다.


 
 
 

Commenti


잠시 후 다시 확인해주세요.
게시물이 게시되면 여기에 표시됩니다.

© 2015 by SPECTRA. created with Wix.com

bottom of page